'AI 시대' 상호호환성 생존 조건 부상…최형두 "제도적 논의 시급"
[디지털데일리 김문기 기자] AI 시대, 디지털 전환의 속도는 가속화되고 있지만 그 중심에는 ‘상호 호환성’이라는 보이지 않는 인프라가 자리하고 있다.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이 문제를 중심에 두고 국회와 산업계, 학계가 머리를 맞댔다.
국회 디지털산업정책포럼(공동대표 고동진·안도걸·이준석·최형두 의원)은 25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AI 시대 중소·벤처·스타트업 기업을 위한 상호 호환성 세미나’를 개최했다. 디지털산업정책협회(DIPA)가 주관한 이번 세미나는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상호 운용성이 경쟁력의 핵심 지표로 부상한 가운데, 중소·벤처기업이 AI 시대에서 도태되지 않고 지속가능한 혁신을 이어가기 위한 토대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형두 공동대표 의원은 개회사에서 “디지털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며, 상호 호환성은 이제 기업 규모나 업력을 가리지 않고 생존을 결정짓는 조건이 되고 있다”며, “플랫폼과 기술이 단절되지 않고 유기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제도적 논의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글로벌 테크 기업 관계자와 산학연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해, 디지털 기반 생태계에서 상호 호환성 확보가 가져올 미래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했다. 특히 API 접근성, 인터페이스 개방, 표준화 문제 등 기술적 이슈뿐만 아니라, 법제도적 장치와 국제 협력 필요성도 주요 화두로 떠올랐다.
이원철 숭실대 교수는 “AI 기술을 포함한 첨단 솔루션의 확산이 중소기업까지 이르기 위해서는 단순히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와 데이터 연계 체계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이어 발제에 나선 디판자나 보세(Deepanjana Bose) 이밸류서브 수석컨설턴트는 “유럽과 미국은 이미 공공·민간 영역을 아우르는 상호운용성 프레임워크를 구축 중”이라며, “한국도 조기 대응 없이는 시장 단절의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부 부처와 산업계, 학계가 참여한 패널 토론에서도 문제의식은 일치했다. 정건영 과기정통부 디지털플랫폼팀장은 “정부는 민간 기술과의 연계를 통해 플랫폼 간 호환성을 강화할 수 있는 구조를 우선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고, 심재윤 중기부 창업정책과장은 “창업 생태계의 실질적인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관련 인프라와 데이터 활용 장벽 해소가 선결 과제”라고 말했다.
최지영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상임이사는 “기술 독립성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상호 호환성은 단순 기술 문제가 아니라 공정성과 기회 접근의 문제로 재조명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세미나는 단발성 논의가 아닌, 실질적인 입법 및 정책 개발로 연결될 정례적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을 예고했다. 디지털산업정책협회 관계자는 “AI와 디지털 플랫폼이 고도화될수록 산업 간, 기술 간, 데이터 간 경계가 모호해진다. 그럴수록 상호 호환성은 사회 전체의 ‘디지털 가속 엔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AI가 바꾸는 세상에서, 진짜 경쟁력은 연결성에서 비롯된다. 기술을 넘어서 생태계 전체가 작동하기 위한 근간이 이제 막 공개 토론의 무대 위에 올랐다.
"장관만 2명, AI수석도"…네이버, 李 정부 최대 수혜주로 [IT클로즈업]
2025-07-12 10:49:22이해진 의장의 결단…네이버 ‘라인웍스’ 10년의 성공비결
2025-07-12 10:24:30KB국민은행, 26억 규모 금융사고 발생… "외부인에 의한 사기"
2025-07-12 08:28:29[DD퇴근길] 네이버 기반 마련했던 최휘영, 문체부 장관 후보자로
2025-07-11 17:1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