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韓 팹리스 NPU 조기 상용화 지원…올해 2434억원 투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데일리 고성현 기자] 정부가 국내 팹리스들이 본격 출시한 신경망처리장치(NPU) 조기 상용화를 위한 투자 지원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5월 추경으로 편성한 AI반도체 분야에 대한 통합 설명회를 오는 11일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AI반도체 분야 추경 사업은 ▲AI컴퓨팅 실증 인프라 고도화(120억) ▲AX 실증 지원(40억) ▲AI반도체 사업화 적시 지원(220억) ▲AI-반도체 해외 실증 지원(54억) ▲국산 AI반도체 기반 디바이스 AX 개발·실증(60억) 사업으로 구성돼 있다. 과기정통부는 이 중 ▲AI컴퓨팅 실증 인프라 고도화 사업 및 ▲AX 실증 지원 사업 ▲AI반도체 사업화 적시 지원 사업(제품 제작지원)에 대한 신규 과제 수행자를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30일까지 모집 중이다.
과기정통부는 AI반도체 분야 중요성을 고려해 올해에만 이번 추경 494억원을 포함 연구개발(R&D), 실증, 인재 양성 등에 총 2434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특히 추경사업은 우수한 기술력을 갖춘 국내 유망 팹리스들이 NPU 조기 상용화에 필수적이라고 요청한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해 기획했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추경사업을 실제 집행하기 전에 기업들에게 사업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고 사업 추진에 대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사업 전반에 걸친 자유로운 질의응답을 진행하여 기업들이 과제를 지원하는데 애로사항이 없도록 실무적인 소통도 강화한다.
박태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과기정통부는 그간 기업과의 긴밀한 소통을 바탕으로 정책수요를 발굴해 이번 추경 사업 등 기업이 실제 필요한 지원 사업을 추진해왔다”며 “앞으로도 사업 기획은 물론, 집행 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의견을 청취해 국내 팹리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국산 NPU가 조기에 상용화되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유상임 장관 “1년 임기 시원섭섭, 배경훈 후보자 잘할거라 믿어”
2025-06-24 16:33:00KAIT, 통신대안평가와 알뜰폰 이용자 금융 접근성 제고
2025-06-24 16:23:17'2025 개인정보 미래포럼' 개최…AI 개인정보 보호 방안 논의
2025-06-24 16:00:00iM뱅크, 정보보호 분야 발전 위해 경북대·대경ICT산업협회와 맞손
2025-06-24 15:58:34국정기획위, '규제 합리화 TF' 구성…R&D 예산 확충도 논의
2025-06-24 15:4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