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사 영상, AI 데이터로 구축” 과기정통부, 방송·미디어 AI전환 가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영상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활용 절차[ⓒ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데일리 오병훈기자] 인공지능(AI) 학습용 데이터 확보 및 활용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방송영상 콘텐츠를 AI 학습용 데이터로 구축하는 사업을 본격화한다.
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전파진흥협회는 방송·미디어의 AI 전환을 가속화하고 한국형 AI 모델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이날부터 다음달 4일까지 ‘방송영상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을 공모한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은 올해 제1차 추가경정예산 200억원을 확보해 신규 추진하는 것으로, 저작권 이슈가 해소된 국내 방송영상 원본을 AI·데이터 기업, 기관 등과 협력해 고품질 방송영상 AI 학습용 데이터로 구축·검증하는 사업이다.
이번 사업의 지원 대상은 (주관기관)방송사, (참여기관)AI·데이터 기업, 기관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으로, 공모를 통해 4개 컨소시엄을 선정해 컨소시엄 당 48억3000만원을 지원한다.
선정된 컨소시엄은 방송콘텐츠 기획·제작·서비스 등에 AI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특화 AI 모델 개발계획 및 이에 필요한 방송영상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이에 따라 방송사가 보유한 방송영상 원본을 총 1만 시간 이상 확보해, 저작권, 개인정보 이슈가 해소된 영상, 이미지 등 데이터를 추출하고 총 5000시간 이상 AI 학습용 데이터를 구축해야 한다.
과기정통부는 고품질 데이터가 구축될 수 있도록, 전문기관을 통해 구축 단계별로 데이터 품질을 관리하고, 데이터 검증용 AI 모델을 활용해 데이터 품질을 확인할 예정이다.
또한, 구축된 방송영상 AI 학습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송·미디어 분야 AI 접목이 확산될 수 있도록, 각 컨소시엄이 데이터를 활용해 특화 AI 모델을 개발·적용하도록 지속 관리할 계획이다.
특히 AI 산업 발전을 위해 구축된 데이터를 월드베스트LLM(World Best LLM) 프로젝트 수행기관 요청 시 제공하고, AI 허브 등에서 연구·교육용 AI 개발을 위해 활용할 수 있도록 일부 개방한다. 월드베스트LLM은 글로벌 최고 수준 AI 모델 확보를 위해 AI 국가대표 정예팀을 집중 지원하는 프로젝트다.
해당 사업을 수행하는 컨소시엄, 데이터 수요기관, AI·데이터 분야 학계 등 전문가들을 모아 방송영상 AI 학습용 데이터 거래 활성화를 위한 협의체도 운영한다. 그간 거래체계 미흡 등으로 방송영상 AI 데이터 거래가 활성화되지 않았지만, 이번 협의체를 통해 방송영상 AI 학습용 데이터 현황을 공개하고, 데이터 거래기준 등을 마련하여 데이터 거래를 촉진한다.
강도성 과기정통부 방송진흥정책관은 “국내 방송사들이 70년간 축적해 온 방송영상은 우리나라의 자연, 인간의 자연스러운 언어와 행동을 장르별로 풍부하게 담고 있어 한국형 AI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는 최적의 데이터로 평가 받는다”며 “국내 방송영상 콘텐츠가 AI 발전의 핵심요소인 데이터로 활용되도록 지원해 방송·미디어 분야의 AI 전환 및 방송콘텐츠 제작 효율성 제고 등 혁신을 이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사업 공고 이후 참여 희망 기업을 대상으로 오는 13일 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
'팬덤 플랫폼' 디어유 '버블', 6월 입점 아티스트 확대
2025-06-13 19:51:46국가AI컴퓨팅센터 사업 재공모도 ‘無응찰’…정부, 사업 전면 재설계 나서나
2025-06-13 17:27:36“플랫폼 입법, 새 정부 핵심 과제로 부상…규제·진흥의 균형 필요”
2025-06-13 17:26:51케이뱅크, '스테이블코인' 대응 본격화… 오픈블록체인·DID협회 회원사 가입
2025-06-13 17:24:31[DD퇴근길] 구글클라우드, 장애는 복구했지만…"원인은 글쎄"
2025-06-13 17:0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