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드림①] 금값된 IT개발자·· “하고싶다면 주저없이 도전하길” IT마스터의 조언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3D 직업’으로 불리던 정보기술(IT) 개발직군이 어느새 모두가 선망하는 ‘귀한 직업’이 됐다. 디지털 혁신에 대한 수요가 커졌고, 기업들이 이에 대응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수요가 공급을 초과했고, 결국 일부 IT기업들이 우수한 인재를 잡기 위해 연봉 인상 랠리를 시작한 결과다. 자연히 개발자 육성과 취업에 관심이 쏠린다. IT개발자가 되기 위한 방법과 취업을 주제로 관계자들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보는 릴레이 인터뷰를 기획했다. <편집자주>
'코드스쿼드'는 네이버가 설립했던 NHN넥스트의 교수 출신이 설립한 곳이다. 현업 개발자들 사이에서 잘 알려진 곳으로, 취업반 성격의 6개월 과정인 ‘마스터코스’를 운영하고 있다. 수료 후에는 이력서 피드백, 모의 인터뷰, 상담 등을 제공하고 있다.
◆현업 개발자가 추천하는 교육, 코드스쿼드 ‘마스터코스’=코드스쿼드의 교육 프로그램 마스터코스는 6개월의 장기 과정으로 구성됐다. ▲모바일 iOS ▲웹프론트엔드 ▲웹백엔드 등 3개 마스터코스를 운영하고 있는 코드스쿼드는 각각의 클래스별 ‘마스터’가 멘토가 돼 교육을 진행한다. 이론 중심의 암기 학습에 그치지 않고, 실제 개발 현장에서 통할 인재를 육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마스터코스 교육생들은 6개월 동안 컴퓨터에 대한 기초를 배우는 과정(5주)과 클래스별 심화된 주제의 학습(8주), 그리고 3개 클래스가 모여 실전과 같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12주) 등이다.
코드스쿼드의 마스터코스는 제한된 교육생만 모집하다 보니 ‘신청해도 못 들어가는’ 교육이라는 말이 돈다. 기본적인 프로그래밍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문제 풀이와 과제 형식의 온라인 시험, 온라인 면접 등을 통해 교육생이 선발된다. 올해에는 상반기(1~6월)에만 교육생을 모집하고 하반기에는 진행되지 않는다.
교육 방식은 교육생이 작성한 코드를 멘토(마스터)가 1:1 ‘코드리뷰’를 하며 실무감각을 키우는 형태로 진행된다. 단계별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주어지고, 이를 매일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팀 혹은 스스로 해결한다. 강의보다는 대부분의 시간을 문제 해결을 위한 자율적인 시간으로 보낸다. 현업 환경과 유사하다. ‘기본기’가 필요구되는 이유다.
웹프론트엔드 클래스를 맡고 있는 윤지수 마스터는 “경쟁률이 많이 높은 편은 아니다. 다만 팀 프로젝트로 진행되는 교육 특성상 조건 없이 모든 사람을 받을 수는 없다. 서로 협력하며 실력을 향상하려면 기본적인 프로그래밍은 가능해야 한다. 그렇다고 성적순으로 모집하는 것은 아니다. 기본기를 갖추고, 중도에 포기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과 협력해 스스로를 발전시킬 수 있는 분들에게는 문이 열려 있다”고 말했다.
‘HTML과 CSS부터 시작해라’, ‘국비교육을 받아라’, ‘취업하려면 자바(JAVA)를 공부해라’, ‘파이썬이 대세다’ 등, 흔한 질문인 만큼 이에 대한 답도 많다. 정보의 과잉이다.
윤지수 마스터는 “정답이 없는 문제다. 프로그래밍 언어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비슷하다. 다만 입문하기 좋은 언어라는 점에서는 자바스크립트와 파이썬을 추천한다. 많이 찾는 언어다 보니 쉽게 풀이된 책이나 교육이 많아 접근하기 좋다”며 “결과가 화면에 보여지는 것을 원한다면 HTML과 자바스크립트를 배워 사용자환경(UI)을 만드는 것도 좋다”고 답했다.
‘지금부터 시작해도 늦지 않았나’도 단골 질문이다. 게임업계를 중심으로 한 급격한 연봉 인상의 영향이다. 5~7년 차 중소·중견기업 직원이 게임·IT기업의 신입보다도 연봉이 낮은 경우가 부지기수다. 아예 업종을 변경하려는 이들도 많다.
윤 마스터는 “나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마스터코스에는 전혀 다른 업종에서 일하다가 새 출발을 위해 도전하는 30대분들도 꽤 있다. 최근에 특히 늘었다고 느낀다”며 “하고 싶은 일이 있다면 주저 없이 뛰어드시는 것을 추천한다”고 조언했다.
또 그는 “개발이라는 것이 굉장히 범위가 넓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만들고 싶다고 생각했더니 너무 어렵다고 느끼면, 웹 UI를 만들어보면 된다. 이것도 아니라면 데이터 분석을 해본다든지 하는 식으로 여러 시도를 해보길 권한다. 본인이 즐거워야 오래 하지 않겠나”라고 부연했다.
코드스쿼드의 경우 3개 클래스를 합쳐 60~70명의 교육생을 받는다. 수요가 공급보다 많은 상태다. 서울에 있는 만큼 지방에서의 접근성도 낮다. 윤 마스터는 “생활코딩, 인프런 등 좋은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곳이 많다. 책을 봐도 좋고, 인강을 봐도 좋다. 자기가 보기 편한, 익숙한 것을 선택하면 된다. 프로그래밍은 책을 읽고 외우는 게 아니라, 코딩을 하느냐”라고 말했다.
첫 돌 맞는 우주항공청, 윤영빈 "2045년까지 우주산업 韓 점유율 10%로 확대"
2025-05-22 12:00:00토스인슈어런스 "보험업법·금소법 원칙 준수"… 설계사 노조측 '부당행위' 주장에 반박
2025-05-22 11:45:42SKT, 신규 가입자 모집 재개되나…유심교체 3일간 100만명
2025-05-22 11:29:55"Z세대 대학 축제에 뜬다"…스푼, 목소리 소개팅 이벤트 개최
2025-05-22 10:5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