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Impact 2020] 안랩 “CPP활용, 하이브리드 · 멀티 클라우드에 효과
또한 기업들이 클라우드를 도입하는 이유 중 가장 큰 지분을 차지하는 것은 ‘민첩성’이다. 빠르게 인프라를 도입하고, 이를 유연하게 관리하며 오토 스케일링(Auto Scaling)을 통해 예기치 못한 트래픽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함께 글로벌 서비스의 지원도 편리하고 사용한 만큼 지불하는 요금제도 클라우드를 도입하는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그리고 클라우드 도입의 걸림돌임과 동시에 장점인 ‘보안’이 있다.
조태희 부장은 “물리적 서버를 운영할 때는 서버에 대한 경계 보안이 최대 과제였지만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서비스 사업자가 경계 보안을 일부분 지원하기 때문에 우선순위가 다소 낮다”며 “경계보안보다는 클라우드 사업자가 제공하는 보안이 잘 설정돼 있는지 등을 살피는 ‘클라우드 보안 형상관리(CSPM)나 클라우드 접근 보안 중개 서비스(CASB) 등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특히 가상머신(VM)과 컨테이너 양쪽에서 중요도가 높은 것은 클라우드 워크로드 보호 플랫폼(CWPP)이다.
이와관련 안랩은 지난 6월 CWPP 플랫폼 ’안랩 클라우드 프로텍션 플랫폼(CPP)‘을 출시하며 클라우드 보안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안랩 CPP는 ▲호스트 기반 침입방지시스템(HIPS) 및 방화벽을 통한 네트워크 공격 탐지·방지 ▲화이트리스트 기반 애플리케이션(앱) 제어 ▲악성코드 탐지·대응 등을 통해 서버 워크로드를 보호한다.
또 인프라에 대한 전반적인 가시성과 일원화된 보안 정책을 지원함으로써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를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나 복수의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멀티 클라우드에 대한 안전한 보안 환경을 구축한다.
조 부장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워크로드의 유형이 변화한 만큼 이에 따른 차별화된 보안이 요구된다”며 클라우드에 적합한 효과적인 보안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종현 기자>bell@ddaily.co.kr
[대선 2025] 김문수 “경제 판갈이”…규제혁신처 신설·AI 100조 투자 공약
2025-05-18 16:17:58[툰설툰설] 웃픈 현실 속 생존기… ‘슬프게도 이게 내 인생’ vs ‘아오링 도쿄’
2025-05-18 15:54:47SKT “고객정보 유출 따른 피해 없다”…추가 악성코드 발견 여부엔 “곧 정부 발표있을 것”
2025-05-18 11:45:45美 AI칩 중동 빗장 풀리자 中 우회 수출 우려 확산…젠슨 황 '부인'
2025-05-18 11:19:555대 은행, 1분기에만 76개 점포 줄여… 금융당국 제동거나
2025-05-18 11:0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