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피플
칼럼
IT정책
통신·방송
e비즈·솔루션
보안
금융IT
콘텐츠
기업문화
산업
국제
기획
특집
시리즈
기업분석
PLAY IT
e-북서비스
2023.02.06(월)
실시간속보
▶
[DD 퇴근길] 갤럭시S23, 통신 ‘맛집’은 어디?
▶
[부고] 원윤식 네이버 대외커뮤니케이션 전무 장모상
▶
1월 번호이동시장 반짝 증가…알뜰폰 상승세 여전
▶
애플페이 韓 상륙 코앞에 두고…현대카드, ‘사과와 함께하는 출근’ 이벤트 실시
▶
과기정통부, ITU와 'AI for 굿' 웨비나 공동 개최
▶
10대 Z세대 민원 1위 ‘게임’, 코로나19·학교 제쳤다…왜?
▶
하영제, '알뜰폰 법' 대표 발의…"도매제공의무 3년 연장해야"
▶
‘더보기’ 누르니, 그제야 광고 표시…SNS뒷광고 2만여건 적발
▶
써머스플랫폼, 3년 연속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공급기업 선정
▶
[인터뷰②] '정이' VFX의 핵심은 현실감…"모두가 공감하는 콘텐츠 필요"
S리포트 / 클라우드 오피스
[S 리포트 / 클라우드 오피스①]
“이젠 기업 업무의 핵심 플랫폼으로 진화”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오피스’, ‘한글과컴퓨터 2014’ 등 문서 소프트웨어(SW)를 구입해 PC에 설치한 뒤 사용하는 패키지 시장이 사라지고 있다.그 대신 웹에 접속해 워드나 한글, 엑셀, 파워포인트 등 다양한 포맷의 문서를 편집하고 공유할 수 있는 ‘클라우드 오피스’가 이를 대체하고 있다.‘클라우드 오피스’(Cloud Office)는 기업 또는 개인이 온라인상에 접속해 다양한 문서 SW를 이용할 수 있는 구현 전략이다. 이용자는 자신의 PC에 오피스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웹브라우저에 접속해 사용할수 있다.PC는 물론이고 다양한 운영체제(OS)의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
[S 리포트 / 클라우드 오피스②]
2022년까지 전체 오피스 시장의 60% 예상, 시장 격변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클라우드와 결합한 문서작성 소프트웨어(SW), 클라우드 오피스는 최근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서의 가치도 높아졌으며, 이 때문에 많은 국내외 기업들의 격전지가 되고 있다. 현재 MS의 ‘오피스 365’를 비롯해 구글 ‘앱스’, 한글과컴퓨터 ‘넷피스 24’, 인프라웨어의 ‘폴라리스 오피스’, 웍스모바일, 사이냅소프트 등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이밖에도 킹소프트나 조호, 그리고 드롭박스와 같은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업체까지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국내에서도 다우기술, 쿠쿠닥스와 같은 기업들이 최근 새롭게 시장에 합류했다. 기존 오피스 시장의 90% 이상은 사실...
[S 리포트 / 클라우드 오피스③]
‘폴라리스 오피스’, 모바일기반으로 급성장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지금까지의 글로벌 오피스 시장은 절대강자 골리앗인 MS를 중심으로 그 구도가 형성돼 왔다. 하지만 모빌리티 환경에 대한 니즈 증가와 함께 클라우드 기술 도입이 가속화 되며 ‘클라우드’ 오피스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이 변화의 틈새를 공략하기 위해 가볍고 뛰어난 호환성, 클라우드 연결성 등을 무기로 도전장을 내미는 차세대 다윗 기업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그 중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기업 중 하나가 이러한 환경 및 사용자 니즈의 변화를 일찌감치 예측하고 준비한 인프라웨어의 ‘폴라리스 오피스’다.모바일 브라우저 사업을 통해 모바일 오피스에 대...
APT 관련기사
[스페셜리포트/APT 보안-4부]
파이어아이, 지능형 위협 탐지·대응 선도입지 구축…인텔리전스·통합 역량 강화
[디지털데일리 이유지기자] 파이어아이는 지능형 위협 탐지·대응 분야에서 선도기업으로 자리잡았다.국내에서도 지능형지속위협(APT) 보안 솔루션 시장이 본격 성장하면서 ‘샌드박스’로 불리는 파이어아이의 멀티벡터가상실행(MVX)엔진이 탑재된 솔루션은 수많은 공급사례를 확보하며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했다. 파이어아이는 “‘차단’과 ‘예방’ 중심의 기존 사이버공격 방어 전략은 한계에 부딪혔다”며 “이제는 침입을 ‘인지’하고 ‘대응’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공격자(공격주체)를 파악해 효과적인 방어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 방법으로 ‘탐지’·‘차단’·‘분석’·‘대응’이..
[스페셜리포트/APT 보안-4부]
포티넷, 통합형 ATP 프레임워크 완비해 지능형위협 대응체계 구축
[디지털데일리 이유지기자] 포티넷은 ‘포티게이트’ 방화벽 통합보안 장비, ‘포티클라이언트’ 엔드포인트 보호 솔루션에 더해 지능형 위협 탐지 솔루션인 ‘포티샌드박스’로 엔드포인트 기기부터 데이터센터까지 확장 가능한 지능형위협보호(ATP) 대응 제품군을 구성했다.특히 포티넷은 고유의 ATP 프레임 워크로 위협 예방, 감지, 완화 기능을 통합한 종합적이고 자동화된 접근방식으로 기존의 보안 제품들을 우회하는 지능형 공격 대응체계 구축을 제시한다. 위협 예방 단계를 뚫고 네트워크에 침투한 위협을 감지하기 위해 활용하는 ‘포티샌드박스’는 다계층 샌드박스로, 포티넷의 다양한 보안 제품...
[스페셜리포트/APT 보안-4부]
시만텍, 통합형 솔루션으로 ‘ATP 2.0’ 시대 개막 선언
[디지털데일리 이유지기자] 시만텍은 최근 엔드포인트 보안, 네트워크 보안, 이메일 보안을 아우르는 통합형 ‘지능형위협보호(ATP)’ 솔루션을 선보였다. 시만텍 ATP 솔루션은 단일 콘솔에서 기업 내 모든 영역에서 발생하는 지능형 위협을 차단·탐지·대응하도록 구현돼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 제품인 엔드포인트 프로텍션(SEP)와 시만텍 이메일시큐리티닷클라우드(Email Security.cloud) 보안 서비스에 더해 게이트웨이 보안 솔루션으로 구성된다. 이 솔루션에는 전 영역에서 발생하는 보안 이벤트 정보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기술인 ‘시만텍 시냅스(Synapse)’와 클라우드 기반 샌드박싱 기술인....
[스페셜리포트/APT 보안-4부]
팔로알토네트웍스, 네트워크 보안 기업 탈피…엔드포인트 제품군 더해 ‘통합보안’ 제품군 완비
[디지털데일리 이유지기자] 차세대방화벽 업체로 유명한 팔로알토네트웍스는 가상화 행위분석 환경을 기반으로 악성코드를 실시간 탐지·대응하는 ‘와일드파이어(WildFire)’ 출시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지능형지속위협(APT) 보안 솔루션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와일드파이어’는 의심스러운 파일을 가상의 샌드박스로 전송해 행위기반 분석을 진행한 뒤 악성코드로 최종 확인되는 경우 30분 내에 해당 악성코드 시그니처를 자동 생성해 상세한 분석 리포트와 함께 고객사에 배포한다.단순한 APT 분석·보고 솔루션이 아닌 자동화된 차단 메커니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팔로알토네트웍스는 APT 공격...
[스페셜리포트/APT 보안-4부]
윈스, ‘스나이퍼 APTX’ 주축 지능형 악성코드 탐지·행위분석·차단
[디지털데일리 이유지기자] 국내 보안기업인 윈스는 알려지지 않은 공격을 탐지·차단하기 위한 전용 장비인 ‘스나이퍼 APTX’를 선보이면서 지능형지속 위협(APT) 대응 솔루션 시장에 본격 뛰어들었다.윈스는 침입방지시스템(IPS)과 분산서비스거부(DDoS, 디도스) 방어 시스템 등 네트워크 보안 업체로 유명하다. 위협관리시스템(TMS)과 차세대 통합보안(UTM) 제품도 보유하고 있으며, 보안관제서비스 사업 등도 수행하고 있다.윈스는 기존 고객군을 바탕으로 ‘스나이퍼 APTX’를 적극 소개하면서 지난해까지 40여곳의 공공기관과 금융사 등에 이 제품 공급사례를 확보했다. 올해에는 관련...
[스페셜리포트/APT 보안-4부]
안랩, 전용 솔루션부터 보안관제까지 지능형위협 대응태세 완비
[디지털데일리 이유지기자] 국내외에서 지능형 사이버공격에 의한 대형 보안사고가 잇따르면서 안랩은 일찌감치 지능형지속위협(APT) 대응 솔루션을 내놓고 대응에 나섰다.지난 2011년 SK커뮤니케이션즈, 넥슨 등에서 발생한 대규모 개인정보유출 사고는 국내에서 발생한 APT 공격 사례로 분석됐다. 당시 안랩은 알려지지 않은 지능형 악성코드를 기반으로 기업이나 기관 대상 표적공격이 심화될 것으로 보고, 악성코드 분석·대응 플랫폼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고도화하고 위협 모니터링·대응 서비스를 더해 엔드포인트·네트워크·특수목적형 보안 제품 등의 공급제품들과 연계해 전방위 대응체계를...
[Special Report / 한국레드헷]
레드햇 관련기사
[S 리포트/미들웨어 1부]
미들웨어도 오픈소스 전성시대…‘PaaS’로 진화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오픈소스 기반의 소프트웨어(SW)가 기업용 IT시장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오픈소스의 장점을 취하려는 노력이 물론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기업의 IT인프라를 구성하는 핵심 솔루션으로 활발하게 선택되는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특히 국내 기업 및 공공기관들은 IT비용절감을 위해서도 가격구조가 합리적인 오픈소스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과거에는 많은 돈이 들더라도 신기술을 빨리 도입하는 것이 중요했지만 최근 기술적인 성숙도가 높아지면서 비용 대비 고효율의 시스템 구축에 집중하고 있는 것이다.IT인프라 성능에 핵심적인 영향...
[S 리포트/미들웨어 2부]
누구나 쓸 수 있지만, 아무나 쓸 수 없는…레드햇의 마법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오픈소스 소프트웨어(SW)의 활용율은 점차 높아지고 있지만 순수하게 내부 인력만으로 이를 운용하는 것은 쉽지 않다. 공짜로 사용할 수는 있지만, 서비스수준(SLA)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오픈소스 SW는 소스코드가 공개돼 있고, 공짜로 사용할 수 있더라도 이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으면 사용이 힘들다. 특히 IT전문가들이 많지 않은 일반 기업들은 더욱 그렇다.내부 IT인력이 있는 기업 역시 새로운 기능이 추가하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선 기술 내재화가 필요하다. 이는 단지 엔지니어 몇 명을 충원한다고 하는 것만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S 리포트/미들웨어 3부]
클라우드 시대에 맞는 옷, 오픈소스 미들웨어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이처럼 많은 기업과 공공기관 등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SW) 도입을 늘리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앞서 기술한바와 같이 기업 입장에선 IT 도입 규모가 점차 확산되면서 지속적인 비용 증가에 따라 고가의 상용 SW의 투자회수율(ROI)을 맞추기 힘들어지고 있다. 또한 기업 간 인수합병(M&A)에 따라 SW 기업들이 대형화되면서 가격 협상도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좋은 SW’보다는 ‘많이 활용되는 SW’가 살아남는 말은 이러한 상황을 대변한다.이밖에 IT투자비용은 계속 줄어들지만 서비스 수준에 대한 요구는 높아지면서 고가의 상용 SW 도입은...
[Special Report / loT]
[Special Report / 스토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