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N(대표 김상헌)은 네이버(www.naver.com)가 통합검색의 핵심 알고리즘인 ‘컬렉션 랭킹’에 이용자들의 검색 행태를 반영하는 새로운 기술을 도입했다고 27일 밝혔다.
컬렉션 랭킹이란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를 검색했을 때 블로그, 카페, 지식iN, 뉴스 등 각 컬렉션 중에서 어떤 것을 먼저 보여줄 것인지 결정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수제비라는 키워드를 검색하면 요리정보를 가장 먼저 보여주고, ‘소녀시대’를 검색하면 인물정보나 뉴스를 상위에 노출시키는 것이 컬렉션 랭킹의 결과다.
NHN에 따르면, 이번에 네이버가 새로 도입한 랭킹 기술은 사용자의 이용행태를 검색 결과 순위에 반영한 것이다.
검색결과를 사용자가 이용하는 행태를 분석해 사용자가 만족한 콘텐츠의 컬렉션은 검색결과 상위에 배치하고, 만족하지 못한 컬렉션은 검색 결과 페이지 하부에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를 입력한 뒤 검색결과에 만족하지 못해 다른 검색 키워드를 넣었는지, 검색결과를 클릭했다가 얼마나 빨리 그 페이지를 닫았는지 하는 사용 행태가 검색결과에 반영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NHN은 “이용자들의 클릭이 많은 것이 반드시 그 컬렉션의 품질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용자의 검색 행태를 근거로 클릭 만족도를 분석해 만족 클릭만을 선별하고, 상위에 노출되는 컬렉션이 보다 많이 클릭되는 쏠림현상을 보정하는 개념”이라고 덧붙였다.
NHN 이준호 COO(최고운영책임자)는 “만족 클릭 선별 및 위치 프리미엄 보정 기술은 컬렉션 랭킹뿐 아니라 검색 전반에 활용될 수 있는 핵심 기술”이라며, “네이버는 세계 최고 수준의 검색 기술 연구와 투자를 통해 핵심 경쟁력인 검색 기술을 꾸준히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