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 연골세포를 이용한 이식술을 받기 전(왼쪽)과 시술 30일 경과 후(오른쪽). 귀 위치에서 세포가 끊임없이 분열하며 점차 모양을 만들어 간다는 설명이다.

[디지털데일리 신제인 기자] 3D 프린터에서 만들어진 귀가 인간에게 성공적으로 이식됐다.

주요 외신은 최근 소이증을 앓고 있던 20대 여성이 3D바이오테라퓨틱스(3DBioTherapeutics) 사의 아우리노보(AuriNovo) 임플란트 시술을 통해 자신의 귀 연골 세포로 만든 3D프린팅 귀를 이식받았다고 지난 3일 보도했다. 

일반적으로 외이 기형을 앓는 환자들의 경우, 플라스틱 등 합성물질로 구성된 인공 귀를 이식받는 것이 대부분이다. 연구진들은 이 경우 거부반응이나 예상치 못한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이번 이식 시술에선 환자 본인의 귀 세포와 콜라겐 기반의 바이오 잉크가 활용됐기 때문에 부작용 위험이 크게 줄었다는 설명이다. 

또, 앞서 의료 기업들이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귀를 재건할 때 환자의 늑골에서 연골 조직을 채취한 경우는 있었지만, 환자 본인의 귀에서 세포를 채취해 활용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선천성 외이 기형 연구소의 설립자이자 책임자인 아르투로 보닐라는 성명을 통해 “아우리노보 임플란트 시술은 늑골에서 연골을 채취하는 방법보다 덜 침습적이다”라며, “다공성 폴리에틸렌(PPE)으로 만든 귀보다 더 유연한 귀를 만들 수 있다”고도 말했다. 

외이 기형을 설명하는 보도자료 (출처: 3D바이오테라퓨틱스)


미국에서는 매년 약 1500명의 아기들이 한쪽 또는 양쪽 귀의 발육이 덜 되거나 완전히 없는 상태로 태어난다. 태아 초기에 귀를 형성하는 조직이 덜 발달해 나타나는 소이증의 원인은 유전자 이상, 고령출산, 약제, 바이러스 감염, 방사선 조사 등이 꼽힌다. 

이번에 개발된 의료 기술은 소이증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이 된 것은 물론, 향후 코나 회전근개 등 연골과 관련한 부위의 재건에도 활용될 수 있다는 평가가 따른다. 

3D바이오테라퓨틱스는 이외에도 3D프린터를 통해 폐와 혈관 등 “사람의 목숨과 연관된 중요 장기”를 만드는 연구를 진행중이라고 전했다.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디지털데일리 뉴스를 만나보세요.
뉴스스탠드


  • IT언론의 새로운 대안-디지털데일리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English News더보기

  • 동영상
  • 포토뉴스
교황청 스위스 근위대가 택한 보안 솔루션은…… 교황청 스위스 근위대가 택한 보안 솔루션은……
  • 교황청 스위스 근위대가 택한 보안 솔루션은……
  • [포토] ‘나이트 크로우’로 새롭게 단장한…
  • KT, 대성동서 ESG 활동 지속…레고 활용 코…
  • 삼성전자 '갤럭시 익스피리언스 스페이스'…글…

PLAY IT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