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안나 기자] “배달공시제는 전형적인 탁상행정의 산물입니다.”

정부가 지난달 25일 배달의민족·쿠팡이츠·요기요 배달비를 보여주는 ‘배달비 공시제’를 시작한 이후 배달업계 한 관계자는 이같이 비판했다. 배달공시제는 소비자들이 업체별 배달비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만들어 배달비 인하 경쟁을 유도하겠다는 취지로 도입됐다. 하지만 업계에선 배달비 인하 효과가 없을뿐더러 소비자들에게도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지난달 12~13일 서울 25개구에서 일부 치킨·분식 프랜차이즈 배달비를 비교하며 “같은 장소에서 같은 업체 배달 주문 시, 배민1이 최고 배달비인 경우가 가장 많다”고 설명했다. 배달 플랫폼별 ‘줄 세우기’로 배달비 인하를 의식하도록 한 목적이다. 이는 배달비를 정하는 주체와 배달비 책정 방식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결과다.

음식을 주문할 때 최소주문금액과 배달비를 정하는 주체는 배달 플랫폼이 아닌 자영업자다. 배달비는 소비자와 자영업자가 분담하는 구조인데, 그 안에서 자영업자들이 개별 매장 상황에 따라 그 비중을 유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들 주문대응 방식·상황에 따라 수시로 배달비가 높고 낮은 업체 순위가 뒤바뀔 수 있다. 즉 배달공시제로 배달비 인하를 유도한다는 건 소비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자영업자들이 더 큰 부담을 떠안으라는 의미나 다름없다.

플랫폼 업체들은 자영업자·소비자가 지불하는 배달비 혹은 여기에 프로모션을 얹어 라이더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배달비 상승 근본적인 원인은 배달 라이더 공급 부족에 있다. 공급보다 수요가 훨씬 더 빠르게 증가하는 상황에서 소비자·자영업자·플랫폼 기업 모두가 부담을 안고 있다. 이런 구조 속에서 배달비 상승을 억제할 근본적인 원인을 찾지 않고 단순 배달비 비교·공시만으로는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못한다.

한 달에 한 번 발표하는 공시는 소비자들에게도 큰 의미가 없다. 날씨나 시간대, 라이더 수요에 따라 자영업자들이 배달비·최소주문금액을 바꾸는 데 배달비 공시가 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지 않기 때문이다. 각 배달 플랫폼에서 소비자들이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정보보다도 활용도가 떨어지는 결과물인 셈이다. 배달비 인하는 소비자뿐 아니라 자영업자·플랫폼 기업 모두가 원하는 방향이다. 배달업체들과의 협업을 통해 실효성 있는 정책이 만들어져야 한다.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디지털데일리 뉴스를 만나보세요.
뉴스스탠드


  • IT언론의 새로운 대안-디지털데일리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English News더보기

  • 동영상
  • 포토뉴스
[포토] ‘나이트 크로우’로 새롭게 단장한… [포토] ‘나이트 크로우’로 새롭게 단장한…
  • [포토] ‘나이트 크로우’로 새롭게 단장한…
  • KT, 대성동서 ESG 활동 지속…레고 활용 코…
  • 삼성전자 '갤럭시 익스피리언스 스페이스'…글…
  • 삼성전자, 인도 뉴델리서 '익스피리언스 스토…

PLAY IT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