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11년만에 '연간 적자' 우려속…박정호 부회장 리더십 주목
- 부임 이후 최대 위기…시스템반도체 강화 등 대응 모색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SK하이닉스가 SK그룹 편입 이후 최대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작년 하반기 들어 서버, 정보기술(IT) 기기 등 주요 응용처 수요가 급감하면서 메모리 시장이 얼어붙은 탓이다.
2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2022년 4분기 영업손실은 1조원 내외로 추정된다. 현실화하면 2012년 3분기(151억원 손실) 이후 10년 만에 적자다.
문제는 올해다. 업황 부진이 이어지면서 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가격 하락은 물론 제조사와 고객사 모두 재고가 쌓여가는 분위기다. 업계에서는 국내 메모리 업체 재고를 4~5개월 수준으로 보고 있다. 고객사 구매 흐름을 감안하면 최대 6개월에 달할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따라 SK하이닉스는 올해 6조~7조원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관측된다. SK하이닉스의 연간 적자는 지난 2012년 이후 처음이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SK하이닉스는 특단조치를 취하고 있다. 지난해 4분기부터 감산에 돌입한 것이 대표적이다. 중국 우시 등 주요 생산기지에서 반도체 웨이퍼 투입량을 의도적으로 조절해 양산 물량을 줄였다. 우시 공장의 경우 국내 이천 등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공정 제품이 만들어진다. SK하이닉스는 성숙(레거시) 메모리 위주 감산 정책을 펼치는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 언급한 대로 투자 규모를 줄이고 있다. 작년(10조원대 후반)보다 50% 이상 축소할 방침이다. 이미 SK하이닉스는 장비 구매를 취소하는 등 허리띠를 졸라매는 상황이다. 내부적으로도 비용 절감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는 후문이다.
국내 5G 가입자 3000만 돌파…LTE도 '알뜰폰' 덕에 약진
2023-06-06 14:45:34"AI 컴퍼니 전환 가속"…SKT, '에이닷추진단' 사업부로 격상
2023-06-06 14:21:47LGU+, 애드테크기업 '디지털캠프'와 맞손…광고 콘텐츠 강화
2023-06-06 14:11:14[차이나 리스크] 한중관계 악화일로 반복에 판호 받은 게임사들 ‘한숨만’
2023-06-06 12:11:42[WWDC 2023] 눈길 끄는 'AI 발표' 없었지만...애플, 실용성 초점 둔 신기능 공개
2023-06-06 12: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