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라이트닷넷

자율주행차 국내 연구, 어디까지 왔을까

신현석
 ‘K-시티’ 조감도 (사진=국토교통부)
‘K-시티’ 조감도 (사진=국토교통부)

[디지털데일리 신현석기자]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논의가 뜨겁다. 무엇보다 우버, 테슬라의 자율주행차 사고 소식이 전해지면서 자율주행차에 대한 우려도 점차 커지는 분위기다.

현재 국내에선 자율주행차 도입을 위한 사전 움직임이 활발하다. 정부가 적극 자율주행차 도입을 선도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작년 8월 경기도 화성시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에서 자율주행차 시험장인 ‘K-시티’(City) 착공식을 가졌다. 32만㎡(11만평) 규모인 K-시티는 올해 말 완공될 예정이다.

현재 K-시티는 자율주행차의 충실한 ‘테스트베드(시험 공간)’가 되고 있다. 내년 상반기 안에 고속도로를 달리는 레벨3 자율주행차의 안정성 평가가 진행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레벨 숫자는 미국자동차공학회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가 발표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자율주행차 앞에 붙여지는데, 자율주행 기능 수준이 높을수록 레벨 숫자가 높아진다. 레벨0부터 레벨5까지로, 총 6단계다.

정부는 레벨3 자율주행차를 2020년 상용화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레벨3는 운전자가 운전대를 잡지 않고 가속페달 및 브레이크에 발을 올리지 않아도 차가 스스로 움직이는 단계다. 일반적으로 레벨3부터 사람들이 머릿속에 떠올리는 자율주행차 모습에 가까운 단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정부 목표대로 자율주행차가 국내에 안정적으로 보급되려면 앞으로 많은 산을 넘어야 한다. 국제표준화기구(ISO)나 유럽 신차안전도 평가기관 유로앤캡(EuroNCAP) 등의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관련 평가 자료를 살펴보면, 자율주행차 안전성 평가에는 선행차량이 정지할 경우 이와 충돌하지 않고 얼마나 차체를 잘 제어할 수 있는지 등 제법 까다로운 검증 과정이 요구된다.

현재 국내에선 학계와 기업, 연구기관이 총동원돼 자율주행 관련 연구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자동차안전연구원과 국민대학교, 현대자동차는 자율주행차 관련 평가시스템 구축과 사고 안정성 평가 기준 개발을 목표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자동차부품연구원은 FOT(Field Operational Test) 데이터 수집, 분석 및 실도로 주행 안정성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국민대학교와 자동차부품연구원은 자율주행차 고장 안전성 평가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 연구개발의 주목적은 자율주행차의 실도로 기반 실증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자율주행 안정성 확보를 위해 반복재현 가능한 평가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평가기술을 도입해 자율주행 차량의 사고 책임 소재에 관한 명확한 기준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연구 결과는 자율주행차 실도로 운행 허가 기준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이 연구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국민대학교의 박영걸 박사는 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자율주행차 R&D 및 테스트베드 연구성과’ 세미나에 발표자로 나서 “자율주행차를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주위에서 상호 환경을 만들어주는 여러 대의 차가 필요하다. 관련 장비도 워낙 고가여서 국내에서 개발했던 장치들을 활용해 실험 차량 대수를 늘리고 테스트 할 수 있는 여러 시나리오를 구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으론, 자율주행차와 관련한 사이버 보안 문제도 해결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5G 시대 모든 사물의 연결에 주목한 차세대 자동차를 뜻하는 ‘커넥티드 카’ 시대로 진입하면서 자율주행차도 네트워크와 연결돼 보안에 취약해질 가능성이 있다. 산업연구원(KIET) 연구 자료에 따르면, 만약 국산 자동차에 보안사고가 발생해 자동차 수요가 10% 감소하면, 이는 국내 경제에 약 24조원에 달하는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현재 자동차부품연구원, 한국교통안전공단, 아주대학교, 고려대학교, ESCRYPT는 이 같은 차량 내부 네트워크 취약점을 노리는 사이버 공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사이버 공격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하거나, 차량 시스템 별 보안 요구사항을 도출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자동차부품연구원 정보융합연구센터의 문희석 센터장은 “자동차 내부통신 보안의 최소 조건 수준을 산출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사이버 공격 위험 심각도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며 “여러 문헌을 보고 공격 및 데미지 포텐셜(potential) 측면에서 요구되는 파라미터를 9개 정도 선정하고 여러 문서를 참조해 각 파라미터별 가중치를 어떻게 부여하는지 등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고 설명했다.

자동차부품연구원은 자율주행차 내 보안 문제 해결을 위해 프로토콜 분석 모듈을 개발하거나, 퍼징테스트를 진행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자동차 내부통신 보안 안전성 평가 기준(안)’을 도출하는 과정을 밟고 있다. 이 평가 기준이 확립되면, 자동차 내부통신 보안 안전성 평가 제도화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차량 내부통신 보안 안정성과 관련된 법제도를 개선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된다.

<신현석 기자>shs11@ddaily.co.kr
신현석
webmaster@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